본문 바로가기

전략전술10

손자병법(孫子兵法) #12 화공편(火攻篇) 이전편 : 손자병법(孫子兵法) #11 구지편(九地篇) 손자병법(孫子兵法) #11 구지편(九地篇) #1 孫子曰 用兵之法, 有散地, 有輕地, 有爭地, 손자왈 용병지법, 유산지, 유경지, 유쟁지, 有交地, 有衢地, 有重地, 有圮地, 유교지, 유구지, 유중지, 유비지, 有圍地, 有死地. 유위지, 유사지. 散地( zerotonine89.tistory.com #1 孫子曰, 凡火攻有五. 손자왈, 범화공유오. 손자가 말하길 무릇 불로 공격하는 방법은 다섯 가지가 있다. 一曰火人, 二曰火積, 三曰火輜, 四曰火庫, 五曰火隊. 일왈화인, 이왈화적, 삼왈화치, 사왈화고, 오왈화대. 火人(화인) : 적군의 병사를 태우는 것 火積(화적) : 적군의 식량과 물자를 태우는 것 火輜(화치) : 적군의 수레를 태우는 것 火庫(화고) :.. 2020. 5. 5.
손자병법(孫子兵法) #11 구지편(九地篇) 이전편 : 손자병법(孫子兵法) #10 지형편(地形篇) 손자병법(孫子兵法) #10 지형편(地形篇) #1 孫子曰, 地形有通者, 有挂者, 有支者, 有隘者, 有險者, 有遠者. 손자왈 지형유통자, 유괘자, 유지자, 유애자, 유험자, 유원자. 손자가 말하길 지형에는 '通形(통형)', '挂形(괘형)', '支形(지형)', ' zerotonine89.tistory.com #1 孫子曰 用兵之法, 有散地, 有輕地, 有爭地, 손자왈 용병지법, 유산지, 유경지, 유쟁지, 有交地, 有衢地, 有重地, 有圮地, 유교지, 유구지, 유중지, 유비지, 有圍地, 有死地. 유위지, 유사지. 散地(산지) : 흩어져서 도주하기 쉬운 지역 輕地(경지) : 쉽게 후퇴할 수 있는 지역 爭地(쟁지) : 적과 아군이 싸우는 지역 交地(교지) : 사방에서.. 2020. 4. 25.
손자병법(孫子兵法) #10 지형편(地形篇) 이전편 : 손자병법(孫子兵法)#9 행군편(行軍篇) 손자병법(孫子兵法)#9 행군편(行軍篇) #1 孫子曰 凡處軍相敵, 絶山依谷, 손자왈 범처군상적, 절산의곡, 손자가 말하길 무릇 군대를 주둔시키고 적의 동향을 살필 때는 산을 넘어 계곡에 의지하고, 視生處高, 戰隆無登, 此處山之軍也. zerotonine89.tistory.com #1 孫子曰, 地形有通者, 有挂者, 有支者, 有隘者, 有險者, 有遠者. 손자왈 지형유통자, 유괘자, 유지자, 유애자, 유험자, 유원자. 손자가 말하길 지형에는 '通形(통형)', '挂形(괘형)', '支形(지형)', '隘形(애형)', '險形(험형)', '遠形(원형)'이 있다. 我可以往, 彼可以來, 曰通. 아가이왕, 피가이래, 왈통. 아군이 진격할 수 있고, 적군이 쳐들어올 수 있는 지형을.. 2020. 4. 5.
손자병법(孫子兵法)#9 행군편(行軍篇) 이전편 : 손자병법(孫子兵法)#8 구변편(九變篇) 손자병법(孫子兵法)#8 구변편(九變篇) #1 孫子曰 凡用兵之法, 將受命於君, 合軍聚衆, 圮地無舍, 손자왈 범용병지법, 장수명어군, 합군취중, 비지무사, 손자가 말하길 대체로 용병의 원칙은 장수가 군주로부터 명을 받고, 병사를 징집 zerotonine89.tistory.com #1 孫子曰 凡處軍相敵, 絶山依谷, 손자왈 범처군상적, 절산의곡, 손자가 말하길 무릇 군대를 주둔시키고 적의 동향을 살필 때는 산을 넘어 계곡에 의지하고, 視生處高, 戰隆無登, 此處山之軍也. 시생처고, 전륭무등, 차처산지군야. 살 수 있는 땅을 보고 높은 곳에 주둔해야 하며, 급경사가 있는 지형에서는 그 지역을 올려다보며 싸우지 않으니, 이것이 산악지대에서 주둔하는 군대의 전쟁 원칙이.. 2020. 3. 22.
손자병법(孫子兵法)#7 군쟁편(軍爭篇) 이전편 : 손자병법(孫子兵法)#6 허실편(虛實篇) 손자병법(孫子兵法)#6 허실편(虛實篇) #1 孫子曰, 凡先處戰地而待敵者佚, 손자왈 범선처전지이대적자일, 손자가 말하길 무릇 먼저 전쟁터에 자리 잡고 적을 기다리는 사람은 여유가 있고, 後處戰地而趨戰者勞. 후처전지이추전자노. zerotonine89.tistory.com #1 孫子曰 凡用兵之法, 將受命於君, 손자왈 범용병지법, 장수명어군, 손자가 말하길 대체로 용병의 원칙은 장수가 군주로부터 명을 받고, 合軍聚衆, 交和而舍, 莫難於軍爭. 합군취중, 교화이사, 막난어군쟁. * 교화(交和) : 적군과 근접하여 마주보고 머무르며 대치하는 상황 * 군쟁(軍爭) : 적과 아군이 서로 전쟁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싸우는 것 병사를 징집하고 군대를 한 곳으로 모으고, 군대.. 2020. 3. 5.
손자병법(孫子兵法)#6 허실편(虛實篇) 이전편 : 손자병법(孫子兵法)#5 병세편(兵勢篇) 손자병법(孫子兵法)#5 병세편(兵勢篇) #1 孫子曰 凡治衆如治寡 分數是也. 손자왈 범치중여치과 분수시야. *분수(分數) : 부대의 편성제도(편제의 구성과 구성별 인원 수) 손자가 말하길 무릇 많은 병력을 다스리면서 마치 적은 수의 병 zerotonine89.tistory.com #1 孫子曰, 凡先處戰地而待敵者佚, 손자왈 범선처전지이대적자일, 손자가 말하길 무릇 먼저 전쟁터에 자리 잡고 적을 기다리는 사람은 여유가 있고, 後處戰地而趨戰者勞. 후처전지이추전자노. 적보다 늦게 전쟁터에 자리 잡고 전투에 달려가는 사람은 피로하다고 한다. 故善戰者, 致人而不致於人. 고선전자, 치인이불치어인. 그러므로 전쟁을 잘하는 사람은 적을 끌어들이고, 적에게 끌려가지 않는다... 2020. 2. 26.
손자병법(孫子兵法)#5 병세편(兵勢篇) 이전편 : 손자병법(孫子兵法)#4 군형편(軍形篇) 손자병법(孫子兵法)#4 군형편(軍形篇) #1 孫子曰 昔之善戰者, 손자왈 석지선전자, 손자가 말하길 옛날에 전쟁을 잘하는 사람은 先爲不可勝 以待敵之可勝. 선위불가승 이대적지가승. 먼저 이기지 못하도록 태세를 갖추고 나서 적에게 zerotonine89.tistory.com #1 孫子曰 凡治衆如治寡 分數是也. 손자왈 범치중여치과 분수시야. *분수(分數) : 부대의 편성제도(편제의 구성과 구성별 인원 수) 손자가 말하길 무릇 많은 병력을 다스리면서 마치 적은 수의 병력을 다스릴 수 있는 것은 '분수(分數)'에 달려있다. 鬪衆如鬪寡 形名是也. 투중여투과 형명시야. *형명(形名) : 부대의 지휘명령체계(징, 북, 깃발 등) 많은 수의 병력과 싸우면서 적은 수의 병력.. 2020. 2. 21.
손자병법(孫子兵法)#4 군형편(軍形篇) 이전편 : 손자병법(孫子兵法)#3 모공편(謀攻篇) 손자병법(孫子兵法)#3 모공편(謀攻篇) #1 孫子曰 凡用兵之法 全國爲上 破國次之. 손자왈 범용병지법 전국위상 파국차지. 손자가 말하길 무릇 용병술의 원칙은 적의 나라를 온전히 하는 것이 최상책이며, 적의 나라를 부수는 것이 차 zerotonine89.tistory.com #1 孫子曰 昔之善戰者, 손자왈 석지선전자, 손자가 말하길 옛날에 전쟁을 잘하는 사람은 先爲不可勝 以待敵之可勝. 선위불가승 이대적지가승. 먼저 이기지 못하도록 태세를 갖추고 나서 적에게 이기기를 기다린다. 不可勝在己 可勝在敵. 불가승재기 가승재적. 이길 수 없음은 나에게 있고, 이길 수 있음은 적에게 있다. #2 故善戰者 能爲不可勝, 고선전자 능위불가승, 그러므로 전쟁을 잘하는 사람은 적.. 2020. 1. 2.
손자병법(孫子兵法)#2 작전편(作戰篇) 이전편 : 손자병법(孫子兵法)#1 시계편(始計篇) 손자병법(孫子兵法)#1 시계편(始計篇) #1 孫子曰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손자왈 병자 국지대사 사생지지, 손자가 말하길 은 '나라의 중대한 일'이며 '죽음과 삶의 문제'이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존망지도 불가불찰야. '존립과 패 zerotonine89.tistory.com #1 孫子曰 凡用兵之法, 손자왈 범용병지법, 손자가 말하길 무릇 군대를 운용하려면 馳車千駟 革車千乘, 치거천사 혁거천승, 전투용 수레 1,000대와 수송용 수레 1,000대, 帶甲十萬 千里饋糧. 대갑십만 천리궤량. 중무장한 병사 10만명, 1,000리를 수송할 수 있는 군량이 필요하다. 則內外之費 賓客之用 膠漆之林 車甲之奉, 즉내외지비 빈객지용교칠지림 차갑지봉, 전ㆍ후방에 투입되는.. 2019. 12. 25.
손자병법(孫子兵法)#1 시계편(始計篇) #1 孫子曰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손자왈 병자 국지대사 사생지지, 손자가 말하길 은 '나라의 중대한 일'이며 '죽음과 삶의 문제'이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존망지도 불가불찰야. '존립과 패망의 길'이니 살피지 않을 수 없다. #2 故經之以五事 較之以七計 而索其情. 고경지이오사 교지이칠계 이계기정. 그러므로 '五事(오사)'에 따라 경영해야 하고, '七計(칠계)'를 비교하여 그 실정을 찾아야 한다. #3 一曰道 二曰天 三曰地 四曰將 五曰法. 일왈도 이왈천 삼왈지 사왈장 오왈법. 첫째는 '道(도)'이고, 둘째는 '天(천)'이고, 셋째는 '地(지)'이며, 넷째는 '將(장)'이며, 다섯째는 '法(법)'이다. 오사(五事)는 다음과 같습니다. 1) 道(도) : 정당성, 국민 여론, 명분 2) 天(천) : 시기와.. 2019.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