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쟁사11

세계전쟁사 : 포에니 전쟁#3 로마의 역습과 카르타고의 몰락 들어가며 한니발 장군이 알프스를 넘어 이탈리아 반도에 진입한 것은 기원전 218년의 일이었습니다. 그로부터 약 15년간, 한니발은 이탈리아 땅에서 로마와 치열한 공방을 벌였습니다.하지만 칸나에 전투 이후, 그는 로마 성벽을 직접 공격하는 대신 이탈리아 내 로마 동맹국들을 이간질하는 전략을 택했습니다.이러한 선택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병력과 보급의 한계, 공성전 능력의 부족, 그리고 생각보다 견고했던 로마 동맹체의 결속력 때문이었습니다.1️⃣ 파비우스의 지구전과 젊은 영웅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등장 칸나에 전투 이후 로마는 파비우스 막시무스를 중심으로 전략을 완전히 바꿨습니다. 파비우스는 로마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독재관과 집정관을 역임한 인물이었습니다.파비우스는 한니발의 군사적 우위를 인정하고.. 2025. 6. 29.
세계전쟁사 : 포에니 전쟁#2 한니발, 단 3번의 전투로 로마 박살내다(칸나에 전투) 세계전쟁사 : 포에니 전쟁#1 한니발, 알프스를 넘다 세계전쟁사 : 포에니 전쟁#1 한니발, 알프스를 넘다Part 1. 포에니 전쟁이란 무엇인가? 📌 포에니 전쟁의 어원: '포에니'와 페니키아인의 관계'포에니 전쟁(Punic Wars)'이라는 이름은 로마인들이 카르타고인을 부르던 말 '푸니쿠스(Punicus)'에서 유래했zerotonine89.tistory.com "한니발이 문 앞에 있다!" – Hannibal ante portas! "Hannibal ante portas!"는 라틴어로 "한니발이 문 앞에 있다!"는 뜻입니다. 이 말은 고대 로마에서 한니발이 로마를 위협하던 시기, 시민들이 느꼈던 극심한 공포와 위기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표현입니다. 기원전 216년, 한니발이 칸나에 전투에서 로마군을.. 2025. 6. 23.
세계전쟁사 : 포에니 전쟁#1 한니발, 알프스를 넘다 Part 1. 포에니 전쟁이란 무엇인가? 📌 포에니 전쟁의 어원: '포에니'와 페니키아인의 관계'포에니 전쟁(Punic Wars)'이라는 이름은 로마인들이 카르타고인을 부르던 말 '푸니쿠스(Punicus)'에서 유래했습니다.이는 다시 페니키아인을 뜻하는 '포에니키우스(Phoenicius)'에서 나온 말로, 카르타고가 지중해 동쪽 페니키아인들이 세운 식민도시였기 때문입니다.페니키아인들은 기원전 12세기경부터 지중해 전역에 걸쳐 교역망을 구축한 해상 민족이었습니다.그들이 현재의 튀니지 지역에 세운 식민도시가 바로 카르타고였죠.시간이 흐르면서 카르타고는 모국인 페니키아를 능가하는 지중해 최대의 상업 제국으로 성장했습니다.📌 총 3차례의 전쟁 개요포에니 전쟁은 총 3차례에 걸쳐 벌어졌으며, 각각의 성격과 결.. 2025. 6. 7.
세계전쟁사 : 알렉스드로스 대왕 동방원정 #4 히다스페스 전투 다음편 : 알렉스드로스 대왕 동방원정 #3 가우가멜라 전투 세계전쟁사 : 알렉스드로스 대왕 동방원정 #4 가우가멜라 전투 1. 알렉산드로스 3세, 이집트 정복하다! 기원전 333년 에서 승리한 '알렉산드로스 3세'는 군대를 이끌고 '이집트'로 진격하였습니다. 당시 '이집트'는 '나일강'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비옥한 곡창지 zerotonine89.tistory.com 1. 알렉산드로스 3세, 페르시아 제국을 멸망시키다! 기원전 331년 의 승리를 통해 '알렉산드로스 3세'는 '바빌론'과 '수사, '페르세폴리스'까지 점령하게 됩니다. 하지만 에서 도주한 '다리우스 3세'는 아직 살아있었고, '페르시아' 주민들은 '알렉산드로스 3세'에게 호의적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알렉산드로스 3세'는 '페르시아'제국을 완.. 2023. 3. 19.
세계전쟁사 : 알렉스드로스 대왕 동방원정 #3 가우가멜라 전투 이전편 : 알렉스드로스 대왕 동방원정 #2 이수스 전투 세계전쟁사 : 알렉스드로스 대왕 동방원정 #3 이수스 전투 1. 알렉산드로스 3세, 이오니아 지방을 얻다! 기원전 334년 에서 승리한 '알렉산드로 3세'는 곧바로 '이오니아 지방'으로 남하하게 됩니다. '이오니아 지방' 그리스인들의 해방과 '페르시아' 해군 zerotonine89.tistory.com 1. 알렉산드로스 3세, 이집트 정복하다! 기원전 333년 에서 승리한 '알렉산드로스 3세'는 군대를 이끌고 '이집트'로 진격하였습니다. 당시 '이집트'는 '나일강'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비옥한 곡창지대였으며, '페르시아'를 정복하기 위해 '마케도니아' 군에게는 충분한 보급이 필요했습니다. '이집트'를 손쉽게 정복한 '알렉산드로스 3세'는 스스로 '파라.. 2023. 3. 19.
세계전쟁사 : 알렉스드로스 대왕 동방원정 #2 이수스 전투 이전편 : 알렉스드로스 대왕 동방원정 #1 그라니코스 전투 세계전쟁사 : 알렉스드로스 대왕 동방원정 #2 그라니코스 전투 1. 신흥강자의 출현, '마케도니아' 기원전 371년 이후 그리스의 패자가 된 '테베'. 하지만 '테베'의 간담을 서늘하게 할 북쪽의 새로운 강자가 나타나게 되니, 바로 북방의 '마케도니아'였습니다. zerotonine89.tistory.com 1. 알렉산드로스 3세, 이오니아 지방을 얻다! 기원전 334년 그라니코스 전투에서 승리한 알렉산드로 3세는 곧바로 이오니아 지방으로 남하하게 됩니다. 이오니아 지방의 그리스인들의 해방과 페르시아의 해군 기지의 점령을 위해서였습니다. 당시 마케도니아 해군은 페르시아 해군보다 약했기 때문에 알렉산드로스는 육군을 통해 페르시아 해군을 제압해야만 했.. 2023. 3. 19.
728x90
반응형
LIST